전체 글94 혼자가 더 좋은 사람들, 집순이·집돌이의 마음 들여다보기 집이 가장 편한 공간인 이유누군가에게는 주말마다 약속을 잡고 바깥 활동을 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또 어떤 사람에게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가장 소중하고 편안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흔히 ‘집순이’, ‘집돌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밖에 나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보다 혼자만의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에 더 큰 만족을 느낍니다. 이 성향은 게으르거나 외향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선호와 기질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심리학에서는 사람의 성향을 내향성과 외향성으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내향적인 사람은 에너지를 외부에서 얻기보다, 혼자 있을 때 회복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반면 외향적인 사람은 타인과의 교류를 통해 에너지를 얻고 기분이 좋아지죠. 집순이, 집돌이는 단순히 외출을 꺼리는 .. 2025. 3. 24. 자기 판단보다 남의 말을 더 믿는 이유: 귀 얇음의 심리학적 배경 귀가 얇다는 건 어떤 상태일까?"너무 귀가 얇아.""누가 뭐라 하면 금방 생각을 바꾸더라."우리는 누군가가 주변의 말에 쉽게 휘둘릴 때 이런 표현을 씁니다. 흔히 '귀가 얇다'는 말은 자기 의견이나 가치관이 뚜렷하지 않아 타인의 말에 쉽게 영향을 받는 성향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 성향이 단순히 우유부단하거나 성격이 약해서 나타나는 걸까요?심리학에서는 이런 행동을 자기 확신 부족(self-doubt) 혹은 외부 지향적 성향(external orientation)으로 해석합니다. 귀가 얇은 사람은 내면의 확신보다 외부의 정보, 권위, 분위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자신의 기준보다는 타인의 말을 통해 ‘정답’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한 것이죠.이들은 흔히 "나는 판단.. 2025. 3. 24. 나쁜 남자의 매력은 어디서 오는가? 불확실성과 설렘의 심리 구조 불확실한 태도가 만들어내는 긴장과 매력"왜 자꾸 그런 남자에게 끌릴까?", "착한 사람보다 나쁜 남자가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건 왜일까?" 이런 질문은 많은 사람들이 연애에서 한 번쯤은 해봤을 법한 고민입니다. 흔히 말하는 '나쁜 남자'란, 무례하거나 무책임하다는 뜻이 아니라,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고, 어디로 튈지 모를 듯한 긴장감과 자기 세계가 확고한 사람을 일컫는 경우가 많습니다.심리학적으로는 이 현상을 ‘불확실성 효과(Uncertainty Effect)’ 혹은 ‘간헐적 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예측할 수 없는 보상이 훨씬 더 강한 중독성과 매력을 유발한다는 이론입니다.예를 들어, 상대가 매일 같은 시간에 연락을 주.. 2025. 3. 24. 너무 잘해주면 오히려 멀어지는 이유: 연애에서 거리 조절의 심리학 호의가 거리감을 만든다? 연애 속 역설적인 심리연애에서 상대를 아끼고 잘해주는 것은 당연한 일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너무 잘해주는 사람에게 오히려 마음이 멀어지는 경험을 해본 사람들도 많습니다. 애정을 아낌없이 주었는데, 상대는 점점 시큰둥해지고 관계는 삐걱거리기 시작하죠. 이런 상황은 감정이 식은 것이 아니라, 심리적 거리 조절의 실패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심리학적으로 보면, 사람은 누군가에게 쉽게 모든 것을 줄 때보다는 어느 정도의 미지와 긴장이 남아 있을 때 더 큰 관심과 매력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심리적 거리 효과(Psychological Distance Effect)’라고 하는데요, 가까울수록 당연하게 여기고, 멀수록 더 궁금해진다는 인간 심리가 반영된 현상입.. 2025. 3. 23. 잘못은 절대 내 탓이 아니다? 남 탓하는 사람의 내면 들여다보기 남 탓은 습관일까, 방어기제일까?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누군가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반면, 또 어떤 사람은 어김없이 타인을 탓하며 자신을 방어하려 듭니다. 이처럼 책임을 회피하고 주변 사람이나 상황을 탓하는 행동은 단순히 나쁜 성격이나 버릇 때문이 아니라, 심리적인 방어 메커니즘일 수 있습니다.심리학에서는 이런 행동을 ‘자기 보호적 편향(Self-serving bias)’ 또는 ‘외부 귀인(external attribution)’이라고 설명합니다. 쉽게 말해, 자신이 겪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외부로 돌려서 스스로의 자존감과 정체성을 지키려는 심리적 방어 전략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을 망친 이유를 “문제가 이상했어” 또는 “교수가 불친절해서”라고 말하며 스스로.. 2025. 3. 23. 왜 항상 늦는 걸까? 지각을 반복하는 사람들의 심리 지각은 단순한 시간 관리 문제가 아니다지각을 반복하는 사람들은 종종 주변 사람들에게 "왜 또 늦었어?", "시간 약속 좀 지켜"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 그리고 본인도 "이번엔 꼭 제시간에 가야지"라고 다짐하지만, 어느새 또 늦고 맙니다. 이렇게 반복되는 지각은 과연 단순히 게으르거나 시간 감각이 부족해서일까요?심리학적으로 보면, 지각은 단순한 습관이나 시간 관리 능력의 부족만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그 이면에는 자기 인식, 감정 조절,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무의식적인 긴장감 등이 함께 작용하고 있습니다.일부 사람들은 일정 시간에 맞춰 움직이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주의력 결핍이나 계획 실행력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일정을 세우는 데에는 능숙하지만,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2025. 3. 23.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